많은 부모들이 이렇게 묻습니다.
아이들을 어떻게 다루죠?
아이들을 다루는 방법은
아이들에게 파괴적인 일 말고 건설적인 일을
하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겁니다.
아이들을 비판할 때는 정보를 주는 비판,
혹은 건설적인 비판을 하라는 것입니다.
아이들에게 할 수 있는 일이 뭔지,
어른들이라면 어떻게 잘 할 수 있는지를
말해주라는 것입니다.
피드백을 주는 목적이 뭘까요?
어떤 피드백이든 다 같죠, 좋은 성과를 얻기 위해서입니다.
여러분이 부모든, 윗사람이든,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이든,
그사람들이 뭘 잘못하거나, 적절치 못 한 일을 할때,
다음엔 더 잘하라는 뜻에서 피드백을 주는 것입니다.
그러나 자부심과 파괴적인 비판은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누군가를 비판할때마다 그들의 자부심이 줄어들고,
자부심이 줄어들면 그들이 하는 일의 능력도 줄어듭니다.
어떤 사람에게 파괴적인 비판을 지나치게 오래하면
그사람은 어떤일도 해보려고 하지 않을겁니다.
우리 삶에 있어 성공의 열쇠는
긍정적인 마음 자세입니다.
긍정적인 마음자세는 성공에 대한 기대,
긍정적인 기대를 만드는 기본입니다.
신념과 자아개념이 긍정적인 기대를 정착하는 기본이죠.
삶의 효율성을 결정짓는 자아개념의 핵심은 바로 자부심이며,
이 자부심은 자기자신을 얼마나 좋아하느냐에 따라서 정해집니다.
그무엇보다도 우리들 뒷덜미를 잡아당기는
두가지 가장큰 문제는 실패에 대한 공포와
거부에 대한 공포입니다.
성공에 이르는 비밀의 핵심은 바로 이것입니다.
끊임없이 자부심을 창출해내는 것입니다.
자신을 위해서, 삶을 위해서,
끊임없이 자신을 위해 일하고,
자신을 받아들이고, 자신을 존중하면,
자기 자신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게 될겁니다.
윗사람이나 부모의 입장이라면 직장에서 혹은 가정에서
최고의 성과를 올릴 수 있는 열쇠는
사람들로 하여금 자기자신에 대해 만족하도록
만드는 것이라는것을 잊지 마십시오.
자신에 대해서 최고라고 느낄수록,
자신을 좋아하면 더 좋아할수록,
주위사람들이 자기를 좋아하고, 사랑하고,
받아들이며, 존경할것이고,
최고를 이루어낼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바로 여러분의 삶을 성공으로 여는 출발선입니다.
자! 매일 반복해서 이렇게 말하는겁니다.
"나는 내가 좋다!"
"나는 내가 좋다!"
"나는 내가 좋다!"
"나는 내가 좋다!"
"나는 내가 너무 좋다!"
'긍정의 한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하는 사람은 왜 성공하는가? (0) | 2015.03.23 |
---|---|
자신이 바라는 모습으로 바꾸고 싶다면... (0) | 2015.03.22 |
자기자신을 좋아하면 실패와 공포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0) | 2015.03.22 |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자부심이 높습니다. (0) | 2015.03.22 |
성공은 우리의 태도에 달려 있습니다. (0) | 201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