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임

부정적인 감정은 어디서 올까요? 부정적인 감정이 어디에서 올까요? 부정적인 감정은 바로 내 안에서 나옵니다. 모든 부정정 감정들은 종국에 가서는 분노로 변합니다. 그것이 안으로 표현되면 내가 상처를 입게 되고, 밖으로 표현되면 다른 사람을 아프게 하죠. 부정적 감정이 살아있으려면 두가지가 꼭 필요한데요. 그 첫번째가 바로 '정당화'입니다. ​ ​자기 자신이나 자기말을 들어주는 사람에게 자기가 이러한 감정을 갖는게 왜 당연한지를 말하는 겁니다. 두번째는 동일시하는겁니다. 동일시 한다는건 어떤걸 자기걸로 아는건데요. 내 상황을 나와 동일시 하는 바람에 내것으로 받아들이고 감정적으로 휩쓸려 거기에 메이기 때문입니다. ​ 부정적인 감정은 외부에 있다가 오는것이 아닙니다. 부정적인 감정은 다른사람이나 상황 때문에 일어나는것이 아니고 바로 그 상.. 더보기
내 인생이 달라지길 바란다면....? 역사상 위대한 인물들을 봅시다. 알버트 슈바이쳐, 윈스턴 처칠, 조지 워싱턴, 아브라함 링컨, 그리고 프랭클린 루즈벨트.... ​이 위대한 인물들의 공통점은 도전에 굽히지 않고 늘 일어섰다는 것입니다. 강한 도전에도 일어설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싶다구요? 그러면 날마다 나에게 닥치는 사소한 도전부터 받아드리도록 하십시오. 어떤일을 당하든 도전을 받아들이고, 내 책임을 받아들이며, 핑계 대는 것을 거부하고, 맞서서 싸우는 것입니다. ​ 우린 선택의 자유가 있습니다. 어떤 반응을 보일지, 마음대로 선택할수 있고, 어떤 감정을 나타낼지, 선택할 자유가 있습니다. ​ 누가 선택하죠? 내 감정이 어떨지, 언제 화를 낼건지, 언제 행복할건지, 불행할 것인지는 내가 정합니다. ​ 아침에 일어났을때 그날 어떤 태도를 .. 더보기
성공을 저해하는 치명적인 요소는? 사람이 어렸을때는 전부 남에게 의존을 합니다. 어린아이들은 조건에 따른 반응이든 일상적인 일이든 그 원인을 찾을때 꼭 나 아닌 남 즉, 외부에서 찾는 버릇이 있습니다. 그래서 조심하지 않으면 성인이 되어서도 남에게 계속 기대려고 하는 심리를 갖게되고 소위 아동기의 가상 안전을 그리워하게 됩니다. 어린애였을땐 누군가 나를 돌봐줍니다. 누군가 먹을걸 주고, 입혀주고 등등.... 집에서나 학교에서나 돌봐줄 사람이 있었잖습니까? 걱정할 필요가 전혀 없었죠. 그 사람들이 나를 돌봐줬으니까요. 학교에 가면 학교에 있는 그 사람들이 다 알아서 해줬습니다. 그래서 방심하다가는 세상에 나가서도 또 그사람들을 찾게 되겠죠? 항상 나를 끝까지 책임져줄 그사람들이 나 아닌 바깥에 있었습니다. ​ 공공교육 제도하에서 교육을 받.. 더보기
내 운명의 주인은 바로 "나"입니다. 앞에서 얘기했죠? 최대 성과를 얻으려면 먼저 자부심을 느껴야 한다구요.... 나란 존재를 가치있고 쓸모있는 사람으로 보며, 내가 나를 얼마나 좋아하고, 얼마나 사랑하며, 얼마나 인정하느냐가 자부심입니다. 최대 성과를 얻기위해 자부심과 함께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 두번째가 바로 자기 책임입니다. 자부심 + 자기책임 서로 보완하는 사이죠. 자기책임이란 무엇이냐 쉽게 말해서 ​ 내 운명을 짓는 건축가는 나다. 내 운명의 주인은 바로 나다. 나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나한테 있다. 내 현재의 위치와 미래는 그 누구도 아닌 바로 나에게 달려 있다는 것입니다. 여러분도 강한힘을 가질 수 있습니다. 강한힘은 책임을 지는 것으로 부터 나오는데요. 하늘은 스스로 돕는자를 돕고, 이 세상에서 나를 책임질 사람은 바로 나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