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괴적인비판

나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말만 하세요! 죄책감이란 값어치가 없다고 느끼는 정서인데, 이런 정서를 어느때 느끼느냐구요? 내인생에서 중요한 사람이 계속적으로 나를 비판함과 동시에 필요한 사랑을 배풀어주지 않을때 이런 감정을 느낍니다. 나는 값어치가 없다라거나 쓸모없는 인간이라고 느끼게 되죠. 죄책감은 바로 무가치함과 쓸모없음으로 이어집니다. 난 쓸모가 없다는 것입니다. 내가 무가치하다는 정서는 대인관계에 문제가 생기는 주된 원인이고, 정신, 신체성 질환의 근본 원인이기도 합니다. 우리 사회에 놓여있는 거의 모든 문제들을 파고들어가 보면 그 밑에는 죄책감과 난 무가치하다는 정서가 자리잡고 있죠. 그래서 태도나 생각으로 표출됩니다. "난 잘하는게 없어." "난 잘하는게 없어." "난 잘하는게 없어." 이미 자부심이 무엇인지 얼마나 중요한지 얘기했었죠.. 더보기
부정적인 감정을 없애는 방법 ​ 자기가 부정적인 감정을 그냥 놔두길 계속 우기는한 자신의 잠재능력을 발휘하거나, 사랑, 건강, 행복은 얻을 수 없다는 겁니다. 굳이 부정적인 감정의 좋은점을 찾으려고 한다면 지그몬드 프로이드가 말했듯 부정적인 감정은 영구적인것이 아니라는 것이죠. 무의식 속에는 부정적인 감정이 영원히 차지할 자리가 없습니다. 다시말하자면 불청객이라는 것이죠. 부정적인 습관이나 부정적인 반응은 얼마든지 없앨 수 있습니다. 이들을 제거하려면 우선 먼저 이런 감정들이 어디에서 오는지 내 어린시절로 돌아가 무엇이 나에게 그런 부정적인 감정을 심어놓았고, 어른이 된 지금에도 어떤종류든 부정적인 측면을 보이게끔 만든 그 원인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어린시절로 돌아가보도록 할까요? ​ 억제되고 강압적인 부정적 습관은 어디에서 시작한.. 더보기
인생성공에 이르는 비밀의 핵심은 바로 이것입니다. 많은 부모들이 이렇게 묻습니다. 아이들을 어떻게 다루죠? 아이들을 다루는 방법은 아이들에게 파괴적인 일 말고 건설적인 일을 하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겁니다. 아이들을 비판할 때는 정보를 주는 비판, 혹은 건설적인 비판을 하라는 것입니다. 아이들에게 할 수 있는 일이 뭔지, 어른들이라면 어떻게 잘 할 수 있는지를 말해주라는 것입니다. 피드백을 주는 목적이 뭘까요? 어떤 피드백이든 다 같죠, 좋은 성과를 얻기 위해서입니다. 여러분이 부모든, 윗사람이든,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이든, 그사람들이 뭘 잘못하거나, 적절치 못 한 일을 할때, 다음엔 더 잘하라는 뜻에서 피드백을 주는 것입니다. 그러나 자부심과 파괴적인 비판은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누군가를 비판할때마다 그들의 자부심이 줄어들고, 자부심이 줄.. 더보기
자기자신을 좋아하면 실패와 공포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인간은 흉내쟁이입니다. 어떤때는 걸음걸이를, 또는 말투를 흉내내는가 하면 가치관을 모방하거나 신념을 따라합니다. 그게 가치가 없고 쓸모 없다고 할지라도요. 왜냐구요? 어렸을때 부모님은 내게 신과 같은 존재였으니까요. 인간은 불편한것을 피하며 배웁니다. 기분좋지 않은 것에서 편안한 쪽으로 움직이는 것이죠. 프로이드는 이것을 쾌락의 법칙이라고 불렀는데 자기에게 편하고 유쾌한 쪽으로만 가려고 하고, 기분좋은 쪽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인간의 성향을 말합니다. 불편함에서 편한쪽으로 이동을 합니다. 이런식으로 배우죠. 다른사람의 행동을 모방하고, 책을 통해서 배우게 됩니다. 학교에서도 모방하고, 긍정적인 반응이 오는것, 힘을 실어주는 것만 따라하고 편치 않거나 고통스러운것은 덜 따라하게 됩니다. 생후 몇해 동안 자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