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른아이 육아법

아이에게 착한 행동의 가치를 가르치는 방법 특별한 이벤트를 활용하라. 아이에게 착한 행동의 가치를 가르치고 싶다면 특별한 이벤트를 활용하면 좋다. 이벤트나 선물을 할때 항상 감사의 말이나 격려의 말을 몇마디씩 덧붙여라.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선물이 중심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착한 행동을 상으로 보상해주는 방법 - 안고 뽀뽀해주기, 칭찬과 격려하기 - 다른 사람 앞에서 칭찬해주기 - 정해진 시간에 티비나 게임을 할 권리 허락하기 - 부모와 함께 일대일로 시간 보내기 - 아들/딸의 날을 만들어 주기 - 부모와 함께 특별한 이벤트 - 깜짝 이벤트 - 등, 머리 쓰다듬어 주기 - 도시락 안에 고맙다, 사랑한다 메모 끼워 넣기 - 세상에서 하나뿐인 소중한 사람이라고 말해주기 - 책 읽어주기 - 장난감 사주고 함께 놀아주기 - 함께 프라모델이.. 더보기
아이에게 올바르게 격려하고 칭찬하는 방법 신뢰를 보여주어라. "네 방법이 맞는것 같구나." "넌 잘할 수 있을거야!" "혼자서도 잘할 수 있을거라고 믿는다. 도움이 필요하면 얘기해. 언제든지 곁에 있을테니." "그 일에 대한 네 의견을 듣고 싶구나." 열심히 공부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말 "열심히 노력하면 틀림없이 성공할 거야." "노력한다는게 쉬운 일은 아니지, 하지만 그만한 가치는 있는 법이란다." 장점과 발전을 지적해 주는 말 "정말 애 많이 썼구나." "네가 벌써 이렇게 잘 한단 말이야?" "네가 정말 이 정도로 발전했구나." 잘못을 배움의 기회로 바꾸어 주는 말 "잘못했지? 그럼 어떻게 했으면 이렇게 되지 않았을까?" "만족스럽지 않다면, 네가 할 수 있는 일이 어떤 것이 있을까?" 책임감을 북돋아 주는 말 "이건 네가 맡으렴.".. 더보기
아이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칭찬을 하라. 칭찬이나 보상은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깨달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네가 그렇게 하니까 엄마도 기분이 좋구나."(좋은 보상) "정말 잘했구나! 네가 생각해도 대견하지?(훨씬 좋은 보상) 두번째 칭찬처럼 아이에게 성취감과 자신의 가치를 느끼게 해주기 때문에 훨씬 좋은 칭찬이 된다. 아이는 부모의 말대로 행동한다. 아이는 못된 아이라는 말을 들으면 그대로 행동하며, 이런 잔소리가 계속될수록 문제아로 만드는 것이나 다름없다. "넌 왜 이렇게 지저분하니? 화장실도 난장판으로 만들고, 변기도 똑바로 쓰지도 못하고... 창피하지도 않아? 방도 장난감들로 어지러져있고, 도대체 왜 말을 안듣니?" 하지만 같은 상황도 전혀 다르게 말할 수 있다. "알겠지? 이건 너답지 않아. 넌 본래 깔끔한 아이잖아. 다음부터.. 더보기
아이의 착한 행동을 찾아 칭찬하라. 아이의 나쁜 버릇을 고치고 싶다면, 나쁜 면보다 착한 행동에 대한 칭찬을 하는것이 중요하다. 칭찬은 나쁜버릇을 고치고, 자부심을 키우며, 착한 행동에 대한 가장 좋은 보상이기 때문이다. 부모들은 종종 잘못한 것은 잊지 않지만, 아이가 잘할 때는 지켜보지 않는다. 대부분의 부모들이 칭찬에는 인색하다. 자녀의 긍정적인 성품을 찾을 수 있도록 늘 관심을 기울여라. 아이의 바람직한 행동을 찾아내라. 아이들의 부모의 말을 있는 그대로 믿고, 그대로 행동한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가 아이의 긍정적인 성품을 칭찬한다면, 아이는 그런 성품을 더욱 확고하게 발전시킬 수 있다. 칭찬과 용기는 아이에게 자신의 가치를 깨닫게 하기 때문이다. 나쁜 버릇을 줄이려면 나쁜 행동에 반대되는 착한행동을 찾아야한다. 칭찬으로 나쁜 버릇과.. 더보기
말 안듣는 아이 보상원리를 이용하라. 말 안듣는 아이. 보상원리를 이용하라. 아이가 짜증내고 투정부리는 일이 상습적이라면, 원하는 것을 얻는 방법을 잘 모르기 때문이다. 보상원리를 이용해서 올바른 방법을 알려준다면 아이의 행동도 바뀌게 되어 있다. 먼저 나쁜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아이가 무엇을 얻는지 파악하고 그것을 차단해야 한다. 그런 다음 보상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다. 관심을 끌고 싶어 나쁜 행동을 한다면 좋은 방법으로 관심을 받는 법을 알려주어라. "ㅇㅇ야 아무리 졸라도 엄마는 눈하나 깜짝하지 않아. 엄마에게 책을 읽어달라고 하고 싶으면, 우선 징징거리는 것부터 그만두어라. 그리고 네 방에서 얌전히 있다가 다시 공손하게 부탁하렴." 누구에게나 인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아이에게 자신이 원하는것을 얻는 법을 가르치라는 것이다.. 더보기